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구강 내 종양

by 가벼운곰 2024. 3. 4.

1) 양성 종양

 섬유종(fibroma), 지방종(lipoma), 신경섬유종(neurofibroma), 혈관종(hemangioma) 등이며, 발생 부위 압박을 초래하므로 절제하거나 미용효과를 위해 제거한다.

 

2) 악성종양

  악성종양의 5% 미만이 구강 내에서 발생하며, 음주와 흡연을 많이 하는 40~50대 남성에게 주로 나타난다. 최근에는 흡연으로 인해 젊은 여성에서도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남성에게는 5번째로 많고 여성에게는 7번째로 많이 발생한다. 혀, 잇몸, 구강 바닥, 혀 점막, 입천장의 순서로 잘 생기고, 편평상피암, 선암이 많으며, 드물게 악성흑색종도 있다(통계청, 2010).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

구강에서 가장 흔한 암으로, 점막의 편평세포에서 작고 편평하게 시작하며 대부분 45세 이후 아랫입술과 혀에서 발생한다. 원발성종양의 원인은 흡연과 음주로 인한 구강 내 점막의 자극이다.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

입술에 작은 딱지가 생긴 후 진주 모양의 괴사로 번진다. 햇빛을 과도하게 쬐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1) 임상증상

       초기 증상은 없다. 차츰 구강이나 목의 덩어리, 림프샘 비대, 불편함, 작열감(burning), 혀의 궤양, 연하곤란, 저작곤란, 혀 움직임 장애로 인한 대화 곤란, 침 흘림 등이 나타난다. 구강암 말기에는 부전마비(paresis)나 마비와 같은 징후와 통증을 동반한 침샘암이 나타난다. 통증은 얼굴이나 귀로 방사된다.

 

   (2) 진단검사

        구강 내 3주 이상 아물지 안흔 병변이나 의심되는 부위는 현미경적 진단을 위해 국소마취 후 조직검사를 실시한다. 방사선검사는 목의 림프샘이나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다. 또 구강과 목 림프샘의 전이 여부에 대한 정밀검사로 컴퓨터 단층 촬영검사(CT)를 실시하는데, 특히 하악골의 침범 여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3) 치료

        입술암은 완치가 가장 잘 되며, 혀의 편평상피암은 광범위한 혈관과 림프관으로 인해 예후가 가장 나쁘다. 종양의 위치와 단계에 따라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수술을 실시한다. 초기 암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며, 경우에 따라 수술을 병행한다. 방사선 치료는 외부 방사선 또는 방사성 물질을 일정 기간 조직에 삽입하는 간질 방사선치료(interstitial radiation)를 실시한다.

         수술은 종양의 위치와 침범 정도에 따라 혀 절제술(glossectomy), 부분 상악골 절제술(maxillectomy), 부분 하악골 절제술(mandibulectomy) 등을 시행한다. 구강암은 조기에 경부림프절에 전이되므로 근치경부절제술(radical neck dissection, RND)을 실시한다.

 

   (4) 간호

        구강암수술 후 출혈, 감염,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수술 후 지소적으로 혈액이 고이거나 목부위의 부종 떄문에 혈종이 형성되는지 관찰한다. 광범위한 구강 내 절제 시 갑작스러운 기도폐쇄를 예방하기 위해 미리 기관절개술을 시행할 수 있으므로 기관절개술 간호를 적용한다. 미세수술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이식조직의 혈전에 따른 순환장애로 이식편이 괴사 될 수 있다. 방사선치료 시 부작용으로 입 안이 헐고 목 피부가 검게 그을리는 방사선피부염이 생길 수 있다. 입 안과 목 피부가 화끈거리는 심한 통증을 호소하므로 국소 또는 전신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차가운 얼음으로 마사지하여 통증을 감소시킨다. 만성부작용으로 구강건조증, 충치, 하악골의 누공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입 안이 허는 구내염, 전신쇠약, 백혈구 감소증, 탈모 등이 발생하므로 이와 관련한 간호를 제공한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교환의 증진  (2) 2024.03.04
위암  (1) 2024.03.04
구내염 Stomatitis  (0) 2024.03.03
총 비경구영양법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1) 2024.03.03
칼슘 Ca++  (1) 202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