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폐쇄성폐질환 - 2) 만성 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by 가벼운곰 2023. 11. 23.

 

 

2) 만성 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호흡 기도 내 공기유통의 폐쇄가 만성적으로 재발되는 특징적인 호흡기계 질환군이다.

 

 (1) 병태생리

    ① 폐기종 Emphysema

     폐기종은 폐포벽의 파괴와 폐 구조물의 변화로 폐의 탄력성이 상실되어 종말세기관지 말단부위 폐포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고 부풀어 오른다.

    폐기종 대사자는 대개 만성기관지염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폐기종에서 일어나는 일차적인 병리학적 변화는 폐 탄력성(elasticity)의 손상과 폐의 과잉팽창이다.  이러한 변화는 호흡곤란과 함께 호흡수를 증가시킨다.

    폐포벽의 탄력성 상실, 폐포의 과신전과 확대, 작은 기도(세기관지)의 허탈에 의해 폐포 내 공기가 포획되고 호흡곤란이 유발된다.  과팽창한 폐는 호흡의 주된 근육인 횡격막을 편평하고 약하게 만든다. 그 결과, 폐기종 대상자는 호흡할 때 목, 흉벽, 복부 등에 있는 보조근육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산소와 대사성 영양소를 더욱 필요로 하게 되고, 더욱 힘든 호흡을 하게 하여 숨이 가빠진다(air hunger). 대상자는 대개 호기가 완료되기 전에 흡기를 시작하고, 이러한 부조화로 호흡곤란이 심해진다.

    호흡 노력의 증가와 폐포조직의 손실에 의해 가스 교환이 영향을 받는다. 일부 폐포가 확장되기는 하나, 폐포벽의 곡선이 감소되어 가스교환에 이용할 수 있는 표면적이 적어진다. 대상자가 호흡수를 증가시켜 이를 조절하므로, 동맥혈가스분석(ABGA)의 결과는 병이 진행될 때까지 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CO2는 신체가 제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축적되어 고탄산혈증과 만성 호흡성산증이 초래된다. 폐기종 말기에는 산소가 손상된 폐조직에서 혈류 속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맥혈 산소분압이 낮아진다.

    폐기종은 가스교환 단위(세엽, acini)의 파괴와 확대 양상에 따라 범세엽성, 중심세엽성, 원위부 폐기종으로 분류한다. 각 형태는 같은 쪽 폐에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함께 생길 수 있다.

    - 범세엽성 폐기종(panlobular, panacinar, PLE): 전반적인 폐포 파괴가 일어난다. 이 형태는 광범위하며 하부 폐 영역에서 더 심하다.

    - 중심세엽성 폐기종(centriacinar, CLE):  세기관지가 열리고 조직벽이 붕괴되는 것만큼 공간이 생기게 한다. 비록 이것이 미만성 질환이더라도, 폐의 상부에서 가장 심하게 영향을 받는다. 이 폐기종은 수년간의 흡연가에게서 자주 볼 수 있다.

    - 원위부 폐기종(paraseptal or distal acinar): 세엽의 말단 부분인 폐포관과 폐포가 영향을 받는다. 이 질환 형태는 기포 형성과 관련되고 폐의 상부 절반에 더 흔히 영향을 미친다.

 

    ② 만성기관지염  Chronic bronchitis

     만성기관지염은 감염성 자극이나 담배연기 같은 비감염성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발병한다. 1년에 적어도 3개월 이상, 2년 이상 연속하여 만성적인 객담을 동반한 기침을 유발하고 기관지와 세기관지의 염증이 발생한다. 염증반응은 혈관확장, 울혈, 점막의 부종과 기관지 경련을 초래한다.

     만성염증으로 점액분비 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여, 많은 양의 진한 점액을 생산한다.  기관지벽은 정상보다 2배 정도 두꺼워져 공기흐름이 힘들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점액 과잉생산과 함께 작은 기도를 폐쇄시키고 큰 기도를 좁아지게 한다.

     만성기관지염은 점액마개와 2차 감염 때문에 공기 유통과 가스교환을 방해한다. 그 결과, PaO2는 감소하고(저산소혈증), PaCO2는 증가한다(호흡성산증).

 

 (2) 원인

    ① 흡연

     흡연은 만성 폐쇄성폐찔환(COPD)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흡연의 유해한 영향은 흡입된 연기가 폐의 정상 단백분해효소(elastase, protease)를 과잉방출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단백분해효소는 폐포의 주요한 구성요소인 elastin을 파괴한다. 또한 섬모작용을 방해하여 기관과 기관지의 점액, 세포의 조직파편, 체액들을 청소하는 섬모의 기능을 억제한다.

      직접흡연뿐만 아니라 간접흡연도 상·하부호흡기도에 문제를 일으킨다. 작고 제한된 공간에서 흡연에 노출될 때 위험은 더 커진다.

 

     유전

     α-antitrypsin(AAT) 결핍증은 폐기종을 유발하는 유전성 위험인자이다. 특별한 효소인 AAT는 간에서 만들어지고, 정상적으로 폐에 존재한다. AAT의 작용은 흡입된 오염물질과 단백분해효소가 폐포조직을 파괴하는 것을 억제한다. AAT가 결핍되면 담배연기나 다른 자극에 노출되지 않아도 아주 젊은 나이에 COPD에 이환된다.

 

    ③ 대기오염

     대기오염만으로는 폐끼종과 만성기관지염 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다. 흡연할 경우 대기오염의 결과는 증폭된다.

 

     ④ 감염

      감염은 COPD를 발생시키는 위험인자이다. 아동기에 심한 호흡기 감염이 반복적으로 있었다면 성인이 되어 폐기능이 감소되고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이 재발함에 따라 정상적인 방어기전이 저하되어 기관지와 폐포가 점점 더 손상된다. COPD 대상자의 질병을 급성으로 악화시키며 50~75%에서 세균이 원인이다.

 

     ⑤ 노화

      노화는 폐의 구조, 흉곽, 호흡근에 변화를 초래하며 폐기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이다. 폐의 탄성과 폐포 지지조직이 점점 감소되고 폐포 내 격막의 상실 등으로 기능을 하는 폐포의 수가 감소한다. 폐포벽이 얇아지면 폐포막과 폐 모세혈관이 소실되고 가스교환이 점점 감소되어 동맥혈 산소분압이 감소한다. 골다공증과 늑연골의 석회화 현상으로 흉곽이 강직되고 경직되어 늑골의 운동성이 적어진다. 폐의 신장성은 저하되고 기능적 잔기량이 증가하여 흉곽이 술통형으로 변한다.

 

 (3) 임상증상

      ① 외모의 변화

       간호사는 키에 비례한 체중, 자세, 기동력, 근육량과 위생상태, 일반적인 외모를 관찰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사지의 근육은 가늘어지고, 목 근육은 증대된다. 대상자는 전형적으로 느리게 움직이고, 약간 허리를 구부린다. 일반적으로 대상자들은 앞으로 고개를 숙인 자세로 앉아 있고, 때때로 팔을 앞쪽으로 붙들고 있다. 호흡곤란이 심해지면 일반적인 자가관리가 소흘해지고 활동장애가 나타난다.

 

     ② 호흡의 변화

      호흡수와 호흡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흉부를 시진한다. 호흡근육이 피로한 대상자는 일반적으로 빠르고 얕은 호흡을 하고, 역리호흡(paradoxical respiration)을 하거나 복부나 목의 보조근육을 사용한다. 호흡수는 40~50%회/ 분으로 빨라질 수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흉부를 체계적으로 촉진하여 압통, 비정상적인 퇴축부위, 흉부 팽창의 대칭성 등을 사정한다. 폐기종 대상자는 횡격막이 편평하기 때문에 횡격막 운동이 제한된다. 기도가 폐쇄되어 진돈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진탕음(fremitus, 진동 저하)이 나타나며, 흉부 타진 시 과공명음(hyperresonance)이 들린다.

     폐기종과 만성기관지염에서는 흉부 청진 시 수포음(crackle)이 들린다. 기도폐쇄나 기흉에서는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

     호흡곤란의 정도는 호흡곤란 척도(visual analog dyspnea scale, VADS)를 사용하여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호흡곤란의 정도를 100mm 선 위에 표시하도록 한다.  수정된 Borg 척도는 10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호흡곤란이 전혀 없는 것에서부터 매우 심한 것까지 호흡곤란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호흡곤란을 사정하고, 치료의 유효성을 측정하며, 대상자의 활동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주관적 호흡곤란 사정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흉부의 전후(AP) 길이와 측부 길이의 정상 비율이 1:2인데, 폐기종에서는 폐포가 과대팽창되고 횡격막이 편평해져서, 흉부의 전후 길이가 증가된 결과 술통형 가슴이 된다. 

      만성기관지염은 만성저산소혈증의 결과로 청색증, 보상성다혈구혈증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곤봉형 손톱(clubbing fingers)이 나타난다. 

       대상자의 심박동수와 리듬을 측정하고, 발과 발목의 의존성부종이나 우심부전의 다른 증상과 징후가 있는지 사정한다. 손톱 기저부(nail beds)와 구강점막의 색깔을 조사한다. 폐기종 말기에는 창백하거나 청색증을 나타낸다.

 

 (4) 진단검사

    ① 혈액검사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를 반복하여 호흡상태의 변화를 비교한다. 일단 ABGA의 기준치를 얻게 되면, 산소포화도 측정으로 치료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다. COPD가 진행되면 혈액 중 산소량이 감소하고(저산소혈증) CO2량은 증가한다(고탄산혈증). 그 결과 만성 호흡성산증(PaCO2의 증가)이 일어나고, 보상으로 대사성알칼리증(동맥혈증 HCO3-증가)이 발생한다. CO2는 O2보다 폐포막을 통해 더 쉽게 확산된다. 그러므로 대부분 고탄산혈증은 기관지염보다 진행성 또는 악화된 폐기종(폐포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서 문제가 된다.

     급성호흡기 감염이 있으면 원인균을 규명하기 위해 객담배양검사를 한다. 백혈구수는 감염 여부를 나타낸다. 혈색소와 헤마토크리트로 다혈구혈증 상태를 알 수 있다. 저인산혈증, 고칼륨혈증, 저칼슘혈증과 저마그네슘혈증이 근육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α1-antitrypsin(AAT) 결핍이 의심되면 혈청 AAT 수준을 검사한다.

 

    ② 방사선검사

     흉부 X-선검사에서 진행성폐기종 대상자의 흉곽은 과팽창되고 횡격막이 편평해져 있다. 그러나 흉부 X-선검사는 초기 혹은 경증 단계의 진단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③ 기타

     COPD는 폐끼능검사(PFT)를 기초로 하여 경증에서 중증까지 분류한다. 공기유통의 속도와 폐용적 측정은 기도질환과 억제성폐질환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폐용적(폐활량(VC), 잔기량(RV), 전폐용량(TLC)), 유통량 곡선, 확산용량(diffusion capacity)을 측정한다. 검사는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과 후에 각각 수행한다.

     유통량 곡선(flow volume curve)은 폐의 안과 밖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COPD 진단은 주로 1초 내의 노력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FEV1)으로 한다.

     또한 FEV1은 노력 폐활량(FVC)과의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함에 따라 FVC 대 FEV1 비율은 더 작아진다.

     확산검사는 일산화탄소가 폐포-모세혈관막을 통과하여 확산하는 능력과 적혈구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폐기종에서는 폐포벽이 파괴되어 확산능력이 감소되고, 기관지염에서는 폐용적이 증가하는 반면 확산능력은 정상이다.

     COPD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를 감소한다. 산호포화도가 90% 이하일 때는 즉각적인 응급치료를 한다.

     최대 호기유량계(peak expiratory flow meters, PFM) 검사로 기도폐쇄의 치료효과를 확인한다. 기도폐쇄가 해결되면 최대 유통량은 증가한다. 대상자에게 가정에서 최대 호기유통량을 계속 검사하게 하고, 그에 따른 투약조절법을 교육한다.

 

 (5) 합병증

    COPD는 모든 조직으로 산소를 전달하는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합병증으로 하상성 장애와 주요 기관의 기능부전이 올 수 있다.

    ① 저산소혈증과 산증

     COPD에서 가스교환이 어려워짐에 따라 혈중 산소는 저하되고 이산화탄소 수준은 증가하여, 저산소혈증과 산증이 발생한다. 그 결과 대부분의 조직은 기능이 저하된다.

 

    ② 호흡기 감염 Respiratory infection

     COPD 대상자는 점액 증가와 산소화 부족으로 인해 소흡기 감염에 걸리기 쉽다. 흔한 원인균은 Streptococcus pneumoniae, Hemophil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등이다. 급성호흡기 감염은 염증과 점액 생산을 증가시키고, 기관지 경련을 유발하여 COPD 증상을 더 악화시킨다. 공기흐름은 한층 더 제한되고, 호흡하기 힘들어져 호흡곤란이 야기된다.

    

    ③ 심부전 Heart failure

     특히 폐성심(Cor pulmonale, 폐질환에 기인하는 우심실부전)은 기관지염이나 폐기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공기포획, 기도 허탈, 폐포 벽의 압력 증가 등은 폐혈관을 통한 혈액흐름을 어렵게 하여 우심장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질환이 진행함에 따라, 혈중 산소량이 감소하고 폐내 주요 혈관이 수축된다. 우심실은 폐로 혈액을 펌프하는데 이 좁아진 폐쇄혈관을 통하여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높은 압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반응으로 우심방은 커지고 두꺼워져 우심부전을 초래한다.

 

    ④ COPD의 악화

     COPD가 악화되는 증상은 보통 호흡곤란이나 심한 기침, 객담의 양과 색깔의 변화, 불면증, 권태감, 피로, 천명음의 증가, 원인없는 발열 등이다. COPD가 악화되는 일차적인 원인은 기관-기관지 감염과 공기 오염이다. 치료도 기도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관지확장제와 corticosteroids를 사용한다. 감염 시에는 항생제를 투여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교육하여 초기에 치료함으로써 입원하거나 호흡부전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 급성호흡부전

     COPD가 심하게 악화되면 호흡부전의 위험이 있다. 발열, 호흡곤란과 기침 등의 COPD 악화 증상이 심해지거나 폐성심의 악화, 기관지확장제와 corticosteroids 투여 중지, β-adrenergic 차단제(propranolol) 등으로 호흡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⑥ 소화성궤양과 위-식도역류질환

      COPD 대상자에게 위궤양 발병 빈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동맥혈 중 CO2의 증가와 O2의 감소로 위산분비가 자극되기 때문이다. 궤양은 위보다 십이지장에 흔하다. 

      위-식도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은 식도열공탈장(esophageal hiatal hernia)과 동반되거나 없을 수도 있다. COPD 대상자에게 위-식도역류질환이 있으면 호흡증상이 더욱 악화된다. 위-식도역류질환은 theophylline이나 β2-adrenergic 작용제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6) 치료와 간호

    ① 간호사정

     위험인자와 현재의 문제를 사정한다. 문진 시 나이, 성별, 직업력과 인종,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다. COPD는 나이 많은 남성에게 흔히 볼 수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중 특히 범세엽성폐기종은 AAT결핍증이 있는 가족 중에 발생한다. 흡연이 주요한 위험요인이기 때문에 흡연기간, 매일 피운 담배 개수, 사용한 담배의 타르 함량과 니코틴 함량 등에 대해 알아본다. 현재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호흡문제의 특징을 말하게 한다. 간호사는 대상자가 말하는 동안 호흡곤란이 있는지 관찰한다. 완전한 문장으로 말할 수 있는지, 한두 단어 사이에 매번 호흡을 하는지 관찰한다. 대상자에게 천명음, 기침과 짧은 호흡, 기간, 악화에 관해 질문한다.  이런 증상들이 언제 나타나는지, 기침 양상은 어떠한지 사정한다.

     만일 기침이 객담과 함께나오면 객담이 깨끗한지, 색깔이 있는지, 양은 어떠한지, 언제 가장 많이 나오는지 묻는다. 흡연가는 전형적으로 아침에 일어날 때 객담을 동반하는 기침을 한다.

     대상자에게 각각 1개월 전과 1년 전의 활동수준과 호흡곤란을 비교하게 하고, 먹고 자는 데 어려움이 있는지 조사한다. 많은 대상자가 누울 때 호흡곤란이 더 악화되기 때문에 앉아서 수면을 취한다. 매일의 일상적인 활동과 수면, 목욕, 옷 입기, 성생활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 체중과 식사

   COPD 대상자는 호흡곤란이 심해짐에 따라 대사요구가 증가한다. 호흡곤란과 객담증가는 음식섭취를 어렵게 하여 영양장애를 초래한다. COPD의 정도가 심하면 체중이 감소하므로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대상자에게 일반적인 하루식사와 수분섭취에 대해 물어본다.

 

@ 정신사회적 사정

   COPD는 사회경제적 활동과 심리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기침, 다량의 객담, 호흡곤란, 피로 떄문에 사람들이 대상자를 피하게 되고 대상자는 점점 더 고립된다. 간호사는 사회활동의 감소 여부, 화학약품 · 연기 · 분무 · 미립자에 대한 노출 여부, 가정환경, 생활 양상 등을 사정한다.

   호흡곤란의 느낌과 호흡곤란에 따른 불안과 두려움은 직업, 가족, 사회적 역할, 성적 역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간호사는 지지 집단과 관련 서비스에 대해 대상자가 인식하고 그것을 이용하는지 확인한다.

 

     ②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주요 간호진단

   - 폐포막의 변화, 기도협착, 공기유통 제한, 호흡근의 피로, 점액분비 과다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 기도폐쇄, 횡격막의 편평해짐, 피로, 에너지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과잉 분비물, 피로, 에너지 감소, 비효과적인 기침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 호흡곤란, 과잉 분비물, 식욕부진, 피로로 인해 신체요구량보다 적은 섭취와 관련된 영양부족

   - 호흡곤란 발작, 호흡곤란, 건강상태 변화, 상황에 따른 위기 중재 실패와 관련된 불안

   - 피로, 호흡곤란, 산소의 수요  · 공급 불균형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③ 가스교환증진

  비수술요법  COPD 관리는 기도유지, 모니터링, 산소요법과 약물요법이다. 

  - 기도의 개방성 유지 : 대상자의 머리, 목, 가슴을 일직선으로 유지하고 분비물을 액화시켜 배출한다.

  - 모니터링 : 2시간마다 대상자를 사정한다. 처방된 산소를 제공하고, 치료반응을 평가한다. 합병증을 예방한다. 자발적인 호흡을 할 수 없는 호흡부전 대상자에게 삽관하고 기계적 환기를 한다.

  - 산소요법 : 저산소혈증의 증상 완화를 위해 산소를 투여하고 동맥혈가스분석으로 그 효과를 평가한다. 보통 비강캐뉼라로 2~3L/분 또는 Venturi 마스크를 통하여 40%까지 산소를 제공한다. 저산소혈증과 만성고탄산혈증이 있는 대상자는 더 낮은 농도의 산소(비강 캐뉼라로 1~2L/분)를 공급한다.

 - 약물요법 : Beta-adrenergic agents, 콜린성 길항제(cholinergic antagonists), methylxanthines, corticosteroid, cromolyn sodium/nedocromil, 점액용해제(mucolytics), leukotriene modifiiers를 투여한다. 점액용해제는 진하고 끈끈한 분비물이 있는 대상자에게 투여한다. 생리식염수나 Mucomyst(Airbron), dornase alfa(Pulmozyme)제는 분비물을 묽게 하고, 객담 배출을 돕는다. Guaifenein(Organidin, Naldecon Senior EX)는 구강용 거담제이다.

 - 환경 자극물과 알레르기원을 관리한다.

 수술요법  말기 COPD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외과적인 치료는 폐용적감소수술(lung volume reduction surgery)이다. 수술의 목표는 과팽창된 폐조직을 제거하여 가스교환을 개선하는 것이다. 폐의 과다팽창으로 공기가 정체되어 가스교환장애가 발생하는데, 폐용적 감소수술을 하면 1초 내 노력호기량(FEV1)이 최소한 75% 향상되고, 전폐용량(TLC)과 잔기량(RV)이 감소하며, 활동내성이 증가하므로 산소요법이 필요 없다.

 

     ④ 호흡기능 향상

      호흡양상, 특히 속도, 리듬, 깊이, 보조근육 사용 여부를 사정한다. COPD 대상자는 호흡을 위해 횡격막보다 보조근육에 더 많이 의존한다. 간호사는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기도감염이 있는지 사정한다.

      복식호흡과 입술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법은 호흡곤란 발작을 조절한다. 간호사는 대상자가 호흡곤란이 없을 때 이 방법을 교육한다.

      침대 상부를 상승시켜 대상자가 직립자세로 앉도록 돕는다. 앉는 자세는 흉부 팽창을 증가시키고 흉부근육을 이완시키며 횡격막이 제 위치에 자리하게 하고 분비물을 쉽게 배출시키고 폐의 환기를 돕는다. 적절한 체위를 취하게 하면 호흡의 에너지 요구량이 적어진다. 

 

    ⑤ 기도개방유지

      만성기관지염과 진행된 폐기종 대상자는 분비물을 제거하지 못해 호흡곤란과 부적절한 산소화가 초래된다. 다량의 분비물은 호흡기 감염을 유발한다.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호흡음을 사정한다. 효과적인 기침, 수분공급과 체위배액법, 적절한 약물사용 등은 기도 청결에 도움이 된다. 이런 방법이 효과가 없다면,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기관절개술(tracheostomy)을 시행한다.

 체위  가스교환 증진에서 설명한 적절한 체위를 취하는 것도 중요한다.

 수분공급  급기가 아니면, COPD 대상자에게 분비물의 액화를 돕기 위해 1일 2~3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가습기는 건조한 기후에서 생활하는 대상자나 겨울에 건열(dry heat)을 사용하는 대상자에게 도움이 된다. 가습기를 매일 청결히 하여 곰팡이 포자(mold spores)의 성장을 막도록 하고, 이를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⑥ 영양섭취

     오심, 조기 포만, 식욕상실, 식사로 인한 호흡곤란이 자주 있다. 또한 호흡에 힘이 들면 칼로리와 단백질 필요량이 증가한다.  섭취량은 감소하는데 필요량이 증가하여 단백질-칼로리 영양불량상태가 된다. 영양불량은 체중, 호흡근육량, 호흡근 강도, 폐 탄력성, 폐포-모세혈관을 약화시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예빵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식이상담을 한다. 대상자의 체중 및 피부상태, 혈청 albumin과 같은 영양지표를 모니터 한다.

 호흡곤란 관리  호흡곤란은 음식섭취를 어렵게 하는 가장 흔한 문제이다. 식전에 휴식을 취하면 식사하는 동안의 호흡곤란을 경감시킬 수 있다. 식사와 관련된 호흡곤란이 기관지 경련이나 분비물 때문이라면 식사 30분 전에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한다. 식사는 소량씩 하루 4~6회 제공한다.

 식이  대상자에게 씹기 쉽고 가스를 형성하지 않는 음식을 선택하도록 교육한다. 또한 고칼로리, 고단백 식이를 먹도록 권장한다. 만일 조기 포만감이 문제라면 식사 전과 식사 중간에는 물을 마시지 않는다. 마른 음식은 기침을 자극하고, 우유와 초콜릿 같은 음식은 타액과 분비물 농도를 증가시킨다. 카페인 음료는 이뇨를 촉진하고 신경과민을 증가시키므로 피하도록 한다. 

 

    ⑦ 불안 해소

     폐기종과 만성기관지염 대상자는 급성호흡곤란과 분비물에 의해 질식할 것 같은 불안을 느낀다. 불안은 호흡곤란을 유발하고 기능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불안은 호흡곤란을 유발하고 기능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불안이나 공황(panic)을 느낄 때 입술을 오므린 호흡과 복식호흡을 하도록 강조한다.

     이완술, 최면술,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요법 등이 불안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간호사는 전문인과 상담하여 호흡곤란과 공포감을 조절하는 기술을 대상자가 익히도록 도와준다.

 

     ⑧ 활동 지속성 유지 Activity tolerance

      폐기종과 만성기관지염 대상자는 전형적으로 만성피로를 경험한다. 질병의 급성기에는 일상생활활동에 상담한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대상자들은 일상생활 활동이나 기타 활동으로 호흡곤란이 유발되면 활동을 피하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호흡근과 다른 근육들은 더욱 약해지고, 산소이용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더낮은 활동수준으로도 호흡곤란이 증가한다. 급성발작이 완화되면 천천히 걸으면서 화동하고, 가능한 자가간호를 많이 하도록 권장한다.

      간호사는 하루의 활동을 계획하고 조율하는 것을 도와준다. 급히 서두르는 것은 호흡곤란, 피로, 저산소혈증을 서두르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활동과 활동 사이에 휴식기간을 둔다.

      대상자가 팔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일하지 않도록 한다. 호흡 보조근이 호흡에 사용되지 못하고 팔과 어깨를 안정시키는 데 사용되기 떄문에 운동 내성을 감소시킨다. 탁자 위에 팔꿈치를 놓게 하거나 작업대 높이를 조절하여 긴장과 피로를 줄인다. 긴 손잡이가 있는 쓰레받기 깃털 먼지털이 같은 가사 도구를 사용하여 몸을 구부리거나 손을 뻗치는 활동을 최소화한다.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품을 손에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에 둔다. 걷는 것과 같이 에너지를 요구하는 활동을 하고 있을 때는 말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활동하는 동안 호흡을 참지 않도록 한다.

 

     ⑨ 호흡기 감염 예방

      폐렴은 COPD의 가장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다. 과잉 분비물이 있거나 인공기도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는 호흡기도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감염의 위험은 나이가 많은 대상자에서 훨씬 증가한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은 피하도록 교육학, 폐렴 예방접종과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flu shot) 접종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⑩ 대상자 교육

      대상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과 같이 만성적이고 무력해지는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자신을 더 잘 관리할 수 있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투약, 감염의 징후와 증상, 호흡기 자극의 회피, 식이요법, 활동 등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에게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요인을 확인하고 피하도록 한다.

      간호사는 입술을 오므린 호흡, 복식호흡, 바른 자세, 이완술 에너지 보존, 기침과 심호흡을 포함한 호흡법을 교육한다. 저산소혈증 대상자는 가정에서 산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COPD는 평생 완화와 악화가 반복되는 질환이다. 흡연자였던 대상자는 자신을 향한 분노감을 느낄 수도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가 불안과 우울증, 비효율적인 대응을 경험할 수 있음을 대상자와 가족에게 설명한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 비경구영양법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1) 2024.03.03
칼슘 Ca++  (1) 2024.01.29
폐쇄성폐질환 - 1) 기관지천식 Bronchial asthma  (0) 2023.11.19
암의 위험 요인  (0) 2023.11.17
췌장암 Pancreatic carcinoma  (0) 2023.11.14